본문 바로가기

영어책/High

The Scarlet Letter 주홍글씨 Nathaniel Hawthorne

 

1850년대 판 부부의 세계라고 할 수 있는 The Scarlet Letter를 최근 읽어보게 되었어요. 청교도 매사추세츠 베이 식민지를 배경으로 불륜을 통해 딸을 낳게 된 주인공 헤스터 프린(Hester Prynne)의 고분분투하는 삶을 보게됩니다.

그녀와 불륜을 저지른 사람은 다름아닌 이 마을의 젊고 신실한 목사인아서 딤스데일(Arthur Dimmesdale) 입니다. 그는 잘생기고 젊은 청교도 목사인데 자기 죄를 고백하지 못했다는 양심의 가책으로 몸과 마음의 심한 고통을 느끼며 결국 죽음을 맞이합니다. ( Dimmesdale suffers from increasing self-hatred, despair, and mental torment. His emotional pain leads to his physical decline.)

게다가 헤스터의 남편인 로저 칠링워스 ( Roger Chillingworth)는 복수를 위해 딤스데일 목사의 주치의로 와서 그를 괴롭힙니다. 그는 너무 괴로워하며 자신을 채찍질 하기도 하고 육체적 정신적으로 힘들어서 자주 심장 위에 손을 얹는 경우가 많았고 아이러니 하게도 그가 자신이 부패했다고 말할 수록 사람들은 그가 신성하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비평가들은 그가 이 작품의 주인공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저는 이 책에서 로저 칠링워스( Roger Chillingworth)가 참 불쌍한 인물인것 같아요. 그는 잘 교육받은 영국의 의사입니다. 그는 나이가 좀 많지만 젊고 아름다운 헤스터와 결혼하게 됩니다. 그는 헤스터와 딤스데일의 비밀을 밝혀내기 위해 딤스데일 주변에 머무르며 복수를 합니다. 이 복수를 그를 서서히 망가뜨리게 되고 딤스데일이 죽자 로저 칠링워스도 죽습니다. 삶의 목적이 없어져 버렸기 때문이겠죠. 그래서 자신의 전 재산을 Pearl ( 헤스터의 딸)에게 남깁니다.

그냥 헤스터를 잊고 살았으면 좋았을텐데 말이죠...

그는 처음에는 불륜의 상대가 누구인지 모르는 독자를 대신하여 범인을 찾아나가는 탐정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가 의심한 사람이 딤즈데일 목사라는 지점에서 독자들은 엄청난 긴장감을 느끼게 됩니다.

또 중요한 등장인물 중 하나는 헤스터의 딸인 펄(Pearll)입니다. 그녀는 살아있는 주홍글씨인 샘입니다.

작가는 그녀를 죄의 상징( an imp of evil, emblem and product of sin) 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녀의 이름 Pearl은 마태복음의 진주의 비유에서 가져왔다고 합니다. 펄은 아빠인 딤스데일이 죄를 고백하기전 뽀뽀하려고 할때는 거부하지만 나중에 딤스데일이 자신들앞에서 자신의 죄를 고백했을때 울며 달려와서 그에게 입을 맞춥니다. 이 장면은 모든 읽는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장면인 것 같습니다. 작가는 펄이 인간의 아이라기 보다는 정신(Spirit)에 가까운 것처럼 표현하기도 하는데요 숲 속의 동물들에게 말을 시키고 함께 놀기도 하는 그리고 기죽지 않고 항상 밝고 씩씩한 모습입니다.

 

헤스터의 옷에 새겨져 있는 A 가 상징하는 것은 Adultery 의 A 이지만 나중에 혼자 딸인 Peral 을 키우며 마을 사람들의 온갖 비난과 조롱을 잘 이겨내며 독립적으로 살아낸 그녀를 더이상 비난하는 사람이 없게되고 이 A는 Angle을 의미할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되네요

 

 

The Scarlet Letter: A Romanceis a work ofhistorical fictionby American authorNathaniel Hawthorne, published in 1850.[1]Set inPuritanMassachusetts Bay Colonyduring the years 1642 to 1649, the novel tells the story ofHester Prynnewho conceives a daughter through an affair and then struggles to create a new life ofrepentanceanddignity. Containing a number of religious and historic allusions, the book explores themes oflegalism,sin, andguilt.

주홍글씨는 1850년에 출판된 미국 작가 나다니엘 호손의 역사 소설 작품이다.1642년부터 1649년까지 청교도 매사추세츠 베이 식민지를 배경으로 한 이 소설은 불륜을 통해 딸을 은닉한 뒤 회개와 존엄의 새로운 삶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헤스터 프린의 이야기를 다룬다. 종교적이고 역사적인 암시를 많이 담고 있는 이 책은 법치주의, 죄악, 죄의식에 대한 주제를 탐구한다.

 

The Scarlet Letter is a novel about what happens to a strict, tight-knit community when one of its members commits a societal taboo, and how shame functions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realms of life. In telling the story of the adulterous but virtuous Hester Prynne; her weak, tormented lover Dimmesdale; and her vengeance-minded husband, Chillingworth, Hawthorne explores ideas about the individual versus the group and the nature of sin. A first-person, introductory chapter, written two hundred years after the events of the novel, indicate that the story will explore attitudes and beliefs that have evolved since the time the story’s set. The next chapter introduces the main character, Hester, emerging from the prison wearing a dress marked with a scarlet letter “A,” and carrying her baby, Pearl. By opening the action of the book after Hester and Dimmesdale’s infidelity has already taken place, Hawthorne establishes the themes of the book as sin, guilt, and remorse, rather than forbidden passion.

주홍글씨는 사회 구성원이 사회적 금기를 범했을 때 엄격하고 친밀한 공동체에 어떤 일이 일어나며, 부끄러움이 인생의 공공 및 민간 영역 모두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소설이다. 간통을 저질렀지만 덕망이 있는 헤스터 프린, 그녀의 약한 애인 딤스데일, 그리고 그녀의 복수심이 강한 남편 칠링워스, 호손은 개인 대 그룹 그리고 죄의 본질에 대한 생각을 탐구한다. 소설이 일어난 지 2백 년이 지난 후 쓰여진 1인칭 입문서는 이 이야기가 이야기가 정해진 시간 이후 진화한 태도와 믿음을 탐구할 것임을 나타낸다. 다음 장에서는 주인공 헤스터를 소개하며, 감옥에서 홍색 글씨 'A'로 표시된 드레스를 입고 나와 아기인 펄을 안고 있다. 호손은 헤스터와 딤스데일의 불륜이 이미 일어난 후 이 책의 액션을 펴냄으로써 이 책의 주제를 금지된 열정이라기보다는 죄, 죄의식에 대한 인간의 선택과 그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