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학년인 학생의 영어수업 교재인 인형의 집을 함께 읽어 보았어요. 1879년에 발표된 노르웨이 극작가 입센의 3막으로 이루어진 희곡인데 당시에는 꽤나 센세이셔널한 내용이었을것 같습니다.
요즘에는 페미니즘적 내용을 담은 희곡이라고 생각이되지만 입센이 딱히 페미니스트였을 것 같지는 않고
인간에 내재하는 기만과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려는 인간의 모습을 사실주의적으로 담아내려는 시도를 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리 모두 어느 정도는 결혼, 페미니즘, 돈의 문제, 또 위선의 문제등에 대해 삶 속에 다 연관이 되어있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 이 희곡을 읽어도 각자 느끼는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줄거리도 단순하고 인물구성도 단순해서 영어로 읽어보셔도 그렇게 어렵지는 않은 희곡입니다.
역사적 맥락에서 보면
1870년대는 모든 여성의 권리를 심각하게 제한하는 엄격한 빅토리아 시대의 사회 규범과 법률이 지배하고 있었고, 특히 기혼 여성에게 그랬습니다. 유럽에서는 여성들이 금융거래를 하는 것을 막는 나폴레옹 코드를 사용했다. 재정에 관한 한 기혼 여성이 할 수 있는 일에 관한 법률이 너무 제한적이어서 자기 사업을 하거나 임금을 받는 많은 여성들은 결혼을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 20세기 초에 이르러서는 여성 참정권 운동이 유럽을 휩쓸고 세계와 여성들이 재산 소유권과 투표권 등의 권리를 부여받으면서 상황이 변하기 시작하고 있었지만 그러나 1870년대 후반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그러한 궁극적인 사건은 아직 먼 상황이었습니다.
Historical Context of A Doll's House
The 1870s were dominated by strict Victorian social codes and laws that severely restricted the rights of all women, and married women in particular. Governments throughout Europe used the Napoleonic Code, which prevented women from engaging in financial transactions. Many women who conducted their own business or earned their own wages chose not to marry because the laws regarding what married women could do when it came to finances were so limiting. By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ings were beginning to change as the female suffrage movement swept over Europe and the world and women were awarded rights such as the right to own property and the right to vote. However, for most people in the late 1870s, such eventualities were not yet even a distant dream.
'Our home has never been anything other than a play-house.
I've been your doll-wife here, just as at home I was Daddy's doll-child'
(우리의 가정은 그저 인형의 집이었고
나는 당신의 인형같은 부인이었어. 내가 아빠의 인형 아이였던것처럼)
자신을 사랑하는 줄 알았던 남편이 위기 상황속에 자신을 무시하는 말들을 쏟아놓자 노라는 자신의 결혼 생활이
진실함이 없는 거짓된 나날이었고 그 누구에게도 의지 하지 않는 참된 자신을 찾고자 집을 떠나게 됩니다.
이 희곡은 많은 주제들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1. 결혼에 대해서
희곡의 초반부 두 사람은 서로 굉장히 사랑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노라도 남편에게 애정을 갖고 이야기하고 남편도 부인을 종달새나 다람쥐라고 하며 애완동물을 부르듯 합니다.( Nora talks joyfully about her love for Torvald, and Torvald refers to Nora using affectionate pet names. )
하지만 부인과 남편이라는 역할을 수행하며 남편이 부인을 책임지고 여자가 남편에게 복종해야하는 전그대적인 방식의 가족관계를 볼 수 있으며 이것이 진정한 사랑을 기반으로 한 결혼이었을까? 라는 의심을 갖게합니다.
2. 돈에 대해서
돈이 필요에서, 돈 때문에... 돈이 이 희곡의 주제에서 굵직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
노라의 부인인 린드부인은 남편과 사별하고 돈이 없어서 노라를 찾아왔고 희곡 초반부에 노라는 남편이 은행장으로 취임하게 된 것 즉 더 많은 돈을 갖게 된것에 들떠있습니다. 그럼에도 남편은 돈을 아껴쓰라며 부인에게 잔소리를 합니다.노라는 돈을 벌 수 없고 자신의 이름으로 대출을 받을 수 없어 아버지의 이름을 불법으로 인용하여 대출을 받았고 이것이 크로그스타에게 빌미가 되어 자신을 협박하는 이유가 됩니다.
( the debt that Nora owes Krogstad allows him to have power over her and Torvald. Both Nora and Mrs. ) 린드부인은 그녀가 여자였기 때문에 큰돈을 벌수 없었고 돈은 그녀들이 성적으로 억압받는 이유가 됩니다. Linde cannot earn large incomes because they are women; their inability to access significant amounts of money is one way that they are oppressed by the sexism of the time.
이 희곡에서 돈을 버는 것은 권력과 연계가 되고 이것은 때로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The play also shows that, while earning money leads to power, it can also be dangerous.
3. 페미니즘
인형의 집은 여성의 제한된 역할과 남성과 여성의 급격한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폭로하고 있습니다. 극 내내 노라는 다른 등장인물들에게 어린아이 취급을 받습니다. Torvald는 그녀를 "펫"과 그의 "property(소유)"라고 부르며, 그녀가 똑똑하거나 돈으로 믿을 만큼 책임감이 없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크로그스타드도, 닥터 랭크도 그녀를 심각하게 여기지 않고, 린데 부인조차도 그녀를 "아이"라고 부릅니다. 그녀는 남편으로 부터 소유의 개념으로 여겨지며 복종을 강요받고 있습니다.
A Doll’s House exposes the restricted role of women during the time of its writing and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a drastic imbalance of power between men and women. Throughout the play, Nora is treated like a child by the other characters. Torvald calls her his “pet” and his “property,” and implies that she is not smart or responsible enough to be trusted with money. Neither Krogstad nor Dr. Rank take her seriously, and even Mrs. Linde calls her a “child.”
4. 기만
극 초반에 노라는 성실하게 순종하고 정직한 아내로 등장하지만, 그녀가 토발드의 목숨을 구했다고 주장하는 이탈리아 여행에 자금을 대기 위해 크로그스타드에서 돈을 빌렸다는 사실를 남편에게 숨겼다는 것이 드러난다. 이것은 결코 그를 거역하지 않거나 그에게서 기만적인 어떤 것도 숨기지 않는다는 그녀의 모든 진술을 만들어낸다. 린데 부인에게 부정직함을 드러내자 린데 부인은 남편과 아내가 서로 완전히 정직하지 않을 때 결혼은 성공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토발드에게 즉시 고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At the beginning of the play, Nora appears to be a dutifully obedient and honest wife, however it is quickly revealed that she is hiding a serious secret from him—the fact that she borrowed money from Krogstad to finance a trip to Italy that she claims saved Torvald’s life. This renders all her statements about never disobeying him or hiding anything from him deceitful. When she reveals her dishonesty to Mrs. Linde, Mrs. Linde insists that she ought to confess to Torvald immediately, insisting that a marriage cannot succeed when husband and wife are not completely honest with each other.
5. 자아존중
개인의 존중을 중요시하는 생각이 표현되어있다. 어머니, 아내 등 역할에 규정된 인간이 아닌 존중받는 한명의 인간으로 존재하고싶은 인간의 의지를 쫓아 안정된 공간 즉 행복한 가정이라는 울타리를 떠나는 한 여인의 모습은
시대순응적인 그 당시의 분위기에서는 엄청난 반향을 일으키는 희곡의 내용이었다.
Plot Summary
< 인형의 집> 의 줄거리는 간단하다. 변호사인 헬메르와 아내 노라는 크리스마스 즈음 남편의 은행장 취임에 기뻐하며 들떠있다. 어느날 이들 부부의 오랜 친구인 랑크 박사와 노라의 오래전 친구 린데부인이 찾아온다. 그녀는 남편과 사별하고 취업부탁을 위해 노라를 찾아온 것이다. 노라는 남편에게 부탁하면 그 정도는 쉽게 해결되리라고 장담한다. 그 사이에 크로그스타가 불쑥 집을 찾아온다. 신혼시절 노라가 남편의 병을 고치기 위해 아버지의 이름을 위조하여 고리대금업자의 돈을 빌렸는데 크로그스타는 은행장이 바뀐다는 소문을 듣고 일찌감치 헬메르의 집으로 미리 찾아온다.
그는 오래 전부터 은행의 말단 직원으로 일하고 있었지만 부도덕하고 부패한 인물로 낙인이 찍혀 있었다. 헬메르에게 찾아봐 자신이 해고되지 않도록 도움을 요청했지만 매정하게 거절당한 그는 노라에게 다시 부탁한다. 자신이 짤리지 않도록 남편에게 영향력을 발휘해 달라고. 노라 역시 그런 부당한 부탁을 단호히 거절한다. 그러나 크로그스타는 물러서지 않는다. 그는 마침내 노라의 '불법 대출'을 문제삼는다. 친정 아버지가 서명한 대출 서류가 위조됐다는 것이다. 마침내 헬메르까지 이 사실을 알게 되자 평소에 노라를 끔찍하게 사랑하던 남편의 태도는 돌변한다.
친구인 린데부인이 크로그스타를 유혹하여 불법대출문제에 대한 부분이 해결되자 남편 헬메르는 다시 친절하게 부인을 대한다. 이에 노라는 현실을 직시하게 되었고 자신들의 결혼 생활이 진실이 아닌 기만속에 유지되어 왔음을 깨닫는다. 그녀는 남편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아이들과 남편을 남겨둔채 집을 떠난다.
< 자세한 줄거리 >
Nora Helmer, a young woman, enters her house carrying packages. It is Christmas Eve, and a porter delivers a Christmas tree. Nora’s husband, Torvald, emerges from his study and greets her. She shows off the Christmas gifts she has bought for their children, and although Torvald chastises her for spending too much, he is also very affectionate towards her, calling her his “little skylark” and “little squirrel.” The two of them celebrate the fact that Torvald has recently been promoted to Bank Manager, meaning they can have a more comfortable life. Mrs. Linde and Dr. Rank arrive. Dr. Rank and Torvald exit to talk in his study. Mrs. Linde, who hasn’t seen Nora for eight years, tells her that she had an unhappy marriage and is now a widow hoping to find a job. Nora promises her that she will ask Torvald to give her a job. Nora then reveals a secret she has been hiding: when she and Torvald were first married, she borrowed money in order to finance a trip to Italy that was necessary to save Torvald’s life, as he had grown ill.
젊은 여성 노라 헬머가 짐을 들고 집으로 들어간다. 크리스마스 이브인데, 짐꾼은 크리스마스 트리를 배달한다. 노라의 남편 토발드가 서재에서 나타나 그녀를 맞이한다. 그녀는 아이들을 위해 사온 크리스마스 선물을 자랑하며, 토발드는 그녀에게 돈을 너무 많이 쓴다고 꾸짖지만, 토발드는 그녀를 자신의 '작은 스카이라크', '작은 다람쥐'라고 부르며 그녀에게도 매우 애정을 쏟는다. 두 사람은 토발드가 최근 은행장으로 승진했다는 사실을 축하하며 좀 더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에 기뻐한다. 린드 부인과 랭크 박사가 도착한다. 랭크 박사와 토발드는 서재에서 이야기를 하기 위해 퇴장한다. 8년 동안 노라를 보지 못한 린데 부인은 그녀에게 불행한 결혼생활을 했고 지금은 일자리를 찾기를 바라는 미망인이 되었다고 말한다. 노라는 토발드에게 일자리를 달라고 부탁하겠다고 약속한다. 그 후 노라는 그녀가 숨겨왔던 비밀을 드러낸다: 그녀와 토발드가 처음 결혼했을 때, 그녀는 토발드의 요양을 위해 이탈리아 여행을 하기위한 돈을 빌렸다.
Nils Krogstad, an employee at the bank, arrives and talks to Torvald in Torvald’s study. Dr. Rank comes out to talk to Nora and says that Krogstad is morally corrupt. Torvald enters, and after a brief conversation with Mrs. Linde, says he can give her a job at the bank. Torvald, Mrs. Linde, and Dr. Rank exit, and Nora plays happily with her children. Krogstad enters, and Nora tells the children to go to their nursemaid and not tell anyone about Krogstad’s visit. It is revealed that Krogstad is the person who Nora borrowed money from. He explains that he is being fired by Torvald, and that Nora must stop this happening or else Krogstad will tell everyone her secret. He adds that he has evidence that Nora forged her father’s signature in an IOU. Krogstad exits, and Torvald returns. Nora tries to persuade him not to fire Krogstad, but is unable to.
은행 직원인 닐스 크로그스타드가 도착하여 토발드의 서재에서 토발드와 이야기를 나눈다. 랭크 박사는 노라와 이야기하기 위해 나와서 크로그스타드가 도덕적으로 타락했다고 말한다. 토발드가 들어가고, 린드 부인과 잠시 대화를 나눈 후, 그는 그녀에게 은행에 일자리를 줄 수 있다고 말한다. 크로그스타드가 돌아가고, 노라는 아이들에게 그들의 유모에게 가서 크로그스타드의 방문에 대해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말한다. 노라가 돈을 빌려간 사람은 크로그스타드라는 것이 드러난다. 그는 자신이 토발드에 의해 해고될 것이며 노라가 이 일을 중단하지 않으면 크로그스타드가 모두에게 자신의 비밀을 말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노라가 IOU에서 아버지의 서명을 위조했다는 증거를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크로그스타드가 출소하고 토발드가 돌아온다. 노라는 크로그스타드를 해고하지 않도록 그를 설득하려 하지만 그럴 수 없다.
Act Two begins the next day, on Christmas Day. Nora, alone on stage, worries about her fate. Mrs. Linde arrives to help Nora sew her costume for a fancy dress ball that is being held on Boxing Day. Nora is dressing as an Italian fisher girl and plans on dancing the tarantella. Mrs. Linde asks to know more about Nora’s secret, but Nora refuses to tell her anything for the moment. Torvald enters and Nora tries again to convince him not to fire Krogstad. However, the harder Nora tries, the angrier Torvald gets, and he eventually decides to send Krogstad’s notice immediately.
2막은 다음날인 크리스마스 날에 시작된다. 무대 위에 홀로 서 있는 노라는 자신의 운명을 걱정한다. 린드 여사는 노라가 복싱데이에 열리는 화려한 드레스볼을 위해 옷을 꿰매는 것을 돕기 위해 도착한다. 노라는 이탈리아 어부 소녀로 분장하고 있으며 타란텔라 춤을 출 계획이다. 린드 부인은 노라의 비밀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어하지만 노라는 당장은 그녀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으려 한다. 토발드가 들어가고 노라는 다시 크로그스타드를 해고하지 말라고 그를 설득하려 한다. 그러나 노라가 더 노력하면 할수록 토발드는 더욱 화가 나 결국 크로그스타드의 통지를 즉시 보내기로 결심한다.
Act Three opens on the next day. Krogstad comes to meet Mrs. Linde at the Helmers’ house while they are at the ball. It is revealed that the two of them once loved each other but that their relationship ended when Mrs. Linde chose to marry a richer man because that was the only way to support her family. Mrs. Linde suggests that, now that their respective spouses have both died, she and Krogstad marry so that she can take care of his children and they can live a happier life together. Krogstad is thrilled, and offers to ask for his letter to Torvald back, as he now regrets his earlier actions. Mrs. Linde, however, tells him to leave it, saying that the truth must come out.
3막에서 크로그스타드는 그들이 무도회에 있는 동안 헬머스의 집으로 린데 부인을 만나러 온다. 두 사람은 한때 서로 사랑했지만 린드 부인이 더 부유한 남자와 결혼하는 것이 가족을 부양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기 때문에 결국 두 사람의 관계는 끝이났었다. 린드 여사는 각자의 배우자가 둘 다 죽었으니 이제 자신과 크로그스타드가 결혼해서 그의 아이들을 돌볼 수 있고 그들은 함께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고 제안한다. 크로그스타드는 흥분했고, 이제 그의 이전의 행동에 대해 후회하고 있기 때문에 토발드에게 다시 편지를 요구하겠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린데 부인은 반드시 진실이 밝혀져야 한다며 그에게 떠나라고 말한다.
Krogstad leaves, and Nora and Torvald return from the ball. Mrs. Linde urges Nora to tell her husband the truth, and then she leaves as well. Torvald tells Nora how much he desires her, but Nora stubbornly resists his advances. . Nora says goodnight to Torvald and sneaks out to the hall, preparing to escape and commit suicide. However Torvald stops her, having discovered the letter from Krogstad. He is furious with her, saying she has ruined his life and that, although they will keep living together to preserve appearances, they cannot be happy and he won’t let her raise their children.
크로그스타드가 떠나고, 노라와 토발드는 무도회에서 돌아온다. 린드 부인은 노라에게 남편에게 사실을 말하라고 재촉하고 나서, 노라 역시 떠난다. 토발드는 노라에게 그가 얼마나 그녀를 원하는지 말하지만, 노라는 그의 접근을 완강히 거부한다. 노라는 토발드에게 굿나잇을 말하고 살금살금 복도로 나간다. 그러나 Torvald는 Krogstad로부터 온 편지를 발견하고 그녀를 제지했다. 그는 그녀가 그의 인생을 망쳤고, 외모를 보존하기 위해 함께 살겠지만, 그들은 행복할 수 없으며, 그녀가 그들의 아이들을 키우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그녀에게 엄청 화를 낸다.
The maid brings a note from Krogstad saying he no longer wishes to blackmail Nora; the IOU is enclosed. Torvald rejoices, saying he is saved and that he forgives Nora. However, Nora reveals that she was going to kill her herself because she thought that Torvald would step forward and defend her, ruining his life and career. She explains that she has realized that she can no longer live with Torvald, whom she considers to be a stranger to her, and wishes to leave in order to discover a sense of who she is. Torvald at first calls her stupid and insane, before changing his tone and promising to change so that she will stay. Nora, resolute, says she must leave. Torvald is left alone onstage in despair. The play ends with the sound of the slam of the front door as Nora exits.
하녀는 더 이상 노라를 협박하고 싶지 않다는 크로그스타드로부터 쪽지를 가져왔다. 토발드는 구원을 받고 노라를 용서한다고 말하며 기뻐한다. 그러나 노라는 토발드가 나서서 자신을 방어해 그의 인생과 경력을 망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했던 것임을 밝히고 있다. 자신을 모르는 사람으로 여기는 토발드와 더 이상 함께 살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감각을 발견하기 위해 떠나고 싶다는 게 그녀의 설명이다. 토발드는 처음에 그녀를 멍청하고 미쳤다고 부르기 전에, 그의 어조를 바꾸고 그녀가 머물 수 있도록 바꾸겠다고 약속했다. 노라는 단호히 떠나야 한다고 말한다. Torvald는 절망 속에서 홀로 무대에 남겨졌다. 노라가 빠져나가면서 현관문의 쾅 하는 소리와 함께 연극이 끝난다. (www.litchart.com)
'영어책 > High'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Scarlet Letter 주홍글씨 Nathaniel Hawthorne (0) | 2020.05.24 |
---|---|
Charlotte's web 샬롯의 거미줄 E. B. White (0) | 2020.04.01 |
The diary of a young girl Anne Frank 안네의일기 (0) | 2020.02.24 |
Persepolis 페르세폴리스 Marjane Satrapi (0) | 2020.02.24 |